목록전체 글 (21)
Ramanu

# sudo vi /etc/rc.local #!/bin/sh /[path]/[execute_file] & # ubuntu가 시작할 때 실행되길 원하는 파일의 절대경로 exit 0 ※ 실행하고자 하는 바이너리가 종료되지 않고 계속 실행되는 형태라면 '&'를 통해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는 것이 좋다. 또는 'exit 0'을 선언해줘야 한다. 그렇지 않으면 ubuntu 실행할 때 에러가 발생하게 되면 그 상태에 잡혀있게 될 가능성이 높다.(console[tty]로 컨트롤이 안됨) # chmod +x /etc/rc.local # sudo vi /lib/systemd/system/rc-local.service +++ [Install] WantedBy=multi-user.target +++ # systemctl ena..

buildroot 상위버전에는 SIZE가 있지만 buildroot-2012와 같이 낮은 버전에는 SIZE가 없다. make menuconfig -> Filesystem images -> ext2 root filesystem -> size in blocks에 원하는 값을 넣어주면 된다. 100000 = 약 100MB # env = ext2 filesystem, mips big endian, buildroot 2012, linux kernel 2.6.31

# env = ext2 filesystem, mips big endian, buildroot 2012, linux kernel 2.6.31 buildroot에서 iptable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듈이 필요하다. make menuconfig에서 iptables, make linux-menuconfig에서 다음 블로그에 있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. tewarid.github.io/2014/09/03/linux-nat-routing-on-raspberry-pi-with-buildroot.html Linux NAT routing on Raspberry Pi with Buildroot Linux NAT routing on Raspberry Pi with Buildroot tewarid.github.io # co..
# env = mips big endian, qemu, tap 1. Static IP Setting - ubuntu network setting & qemu argument #!/bin/sh openvpn --mktun --dev tap0 ifconfig tap0 192.168.100.1 up iptables -t nat -A PREROUTING -i ens33 -p tcp -j DNAT --to-destination 192.168.100.2 iptables -t nat -A POSTROUTING -j MASQUERADE qemu-system-mips -M malta -kernel vmlinux -hda debian_squeeze_mips_standard.qcow2 -append "root=/dev/hd..